본문 바로가기
주식정보/경제지표

장단기 금리차 확인하는 사이트 / 시사하는 바는?

by 주중년 2022. 3. 25.
반응형

최근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뉴스 등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역전되면 어떤 일이 생기길래 이렇게 주목을 하고 있는 것일까요?

기본적으로 장기 금리는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를 뜻합니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정책(미국 연준의 정책)보다는 시장의 기대감에 의해 형성됩니다.

장기적인 시각에서 경기가 좋을 것 같으면 높은 수준에 형성되고, 안 좋을 것이라고 예상되면 낮은 수준에서 형성됩니다.

반면에 단기 금리라 불리는 미국 2년물 국채금리정책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최근 미 연준이 금리 인상을 한다, 몇 번 정도 한다 등의 정책 금리가 여기 반영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장단기 금리차라는 것은 10년물 금리와 2년물 금리의 차이를 말하는 것입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했을 때 이 차이는 당연히 양의 값이 나와야 합니다. 만기가 10년인 국채가 금리가 더 높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예금으로 생각해봐도 만기가 긴 예금이 이율이 더 높은 것이랑 같은 이치입니다.

그런데 이 값이 음의 값이 나왔다는 것은(장단기 금리 역전) 2년물 국채 금리가 10년물보다 더 높다는 뜻이니 뭔가 이상한 건 틀림없습니다.

장기적으로 시장에서 경기침체를 예상하거나(10년물 금리 하락), 정책금리가 상승할 때(2년물 금리 상승) 이런 경우가 발생할 것입니다.

즉, 시장은 장기적으로 경기가 안 좋을 것이라고 예상하는데 정책금리(단기금리)가 올라가게 되면 기업 입장에서는 대출 이자 부담 때문에 투자심리가 더 위축되는 것이죠.

그리고 이 장단기 금리 역전에 사람들이 주목하고 위협을 느끼는 것은 지난 역사에서 증명하고 있습니다.

 

<장단기 금리 차이>

 

1990년대 이후 장단기 금리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기준선인 검은선이 0의 값을 나타냅니다.

즉, 검은선 아래로 내려왔다는 것은 장단기 금리 역전을 뜻합니다.

그리고 회색띠로 표시된 것이 경기침체 구간을 뜻합니다.

그래프를 자세히 보시면 장단기 금리가 역전된 후 1~2년 안에 경기침체가 찾아온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해당 그래프는 아래 링크를 타고 들어가시면 볼 수 있습니다)

 

https://fred.stlouisfed.org/series/T10Y2Y

 

10-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Minus 2-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Sourc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elease: Interest Rate Spreads Units:  Percent, Not Seasonally Adjusted Frequency:  Daily Notes: Starting with the update on June 21, 2019, the Treasury bond data used in calculating interest rate spreads is

fred.stlouisfed.org

 

그렇기 때문에 시장에서 경계를 하는 것입니다. 물론 아닌 적도 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100% 신뢰할 수는 없지만 기본적으로 장단기 금리가 역전이 된다는 것은 10년물 금리가 낮다는 것을 뜻하고, 이는 경기가 좋지 않다는 것을 뜻합니다.

결과적으로 경기가 안 좋을 것으로 시장에서 예상하는 것이고 결과값으로 경기침체가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특히나 앞으로 미국 연준에서는 정책금리를 여러차례 올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조만간 장단기 금리가 역전될 가능성이 많아 보입니다.

주식을 하면서 여러 지표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 지표 역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고, 이번에는 다르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100%를 장담할 순 없지만, 어쨌거나 과거의 사례로 볼 때 경기침체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는 있다고 보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체크해나갈 필요는 있어 보입니다.

이후에 연준에서 단기금리(2년물)를 어떻게 조정해나가는지 시장에서는 경기회복을 예상하는지(10년물) 등을 체크해 나가야겠습니다.

 

반응형

댓글